본문 바로가기

정책 및 정보

한국 벤처투자 시장의 위기와 정부 정책의 문제점

무지개경영(주) 대표컨설턴트 박종훈입니다.

중기부에서 최근 벤처투자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미 국내외 투자 전문가들은

대한민국 투자 시장에 불안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 시점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이 너무 크며

코로나 펜데믹 보다 더 투자시장은 암울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습니다.

현 벤처투자 시장의 위기에 대한

칼럼을 쓰던 중 일부 내용을

요약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글 작성자 : 무지개경영(주) 대표컨설턴트 박종훈

[칼럼1 : 위기의 한국 벤처투자 시장, 균형 잡힌 정책이 필요하다.]

한국 벤처투자 시장은 오랫동안 미국에 이어 세계적으로 선진화된 시스템으로 평가받아 왔으며,

자금조달, 투자, 투자금 회수(엑시트)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와 고용 창출 효과는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이 자랑스러운

생태계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으며, 정부 정책의 변화와 시장 구조적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벤처투자 시장의 불안정이 심화되고 있다.

(1) 위기의 원인 : 정책 변화와 중소형 VC의 고통

벤처투자 시장의 위기는 정부의 정책자금 축소에서 시작되었으며, 과거 10년간 꾸준히

증가했던 정책성 자금이 감소하면서, 시장은 큰 충격을 받았다.

특히 정책성 자금이 전체 벤처투자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 이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정부의 태도 변화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변화가 중소형 벤처캐피탈(VC)들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겼다는 점으로

대형 VC에만 투자가 집중되는 구조 속에서, 중소형 VC들은 정량평가에서 밀리고

펀드 결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은행과 대기업조차 벤처출자를 줄이고 있어, 중소형 VC의 생존은 더욱 위태로워지고 있으며,

실제로 신규 VC 설립 숫자는 2020년 21개에서 2023년 9개로 급감했으며,

펀딩 실패로 시장에서 퇴출되는 VC도 속출하고 있다.

(2)반등의 신호 : 정책자금 확대와 투자 증가

다행히 2023년 들어 벤처투자 시장에는 일부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으며,

신규 벤처조합 약정금액은 4조7122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고, 신규 투자 금액도

5조1424억 원으로 24.8% 늘어났다. 이러한 반등의 중심에는 모태펀드와 같은 정책자금의

역할 확대가 있는 것으로 본다. 또한 모태펀드 출자 비중이 9.9%에서 21.7%로 급증하며,

시장의 큰 손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 반등은 여전히 소수 대형 VC들에만 집중되고 있어, 시장 전반의 회복으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고, 중소형 VC들이 여전히 소외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반등은 한계가 분명하다.

(3)현실과 괴리된 정책, 그리고 다가오는 혹한기

중소벤처기업부는 글로벌 진출을 강조하며 해외 시장에서의 성과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으로

현재 중소형 VC들은 생존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해외 진출은 중장기적으로 중요한 과제일 수 있지만, 당장의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은 시장에

혼란만 가중시킬 뿐으로 현재 국내에서 해외 진출을 꾀할 수 있는 VC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다수의 VC들이 내년 혹한기를 견디지 못하고 폐업할 가능성이 크며,

시장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의 생존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4)해결책 : 균형 잡힌 정책과 중소형 VC 지원

한국 벤처투자 시장을 다시 선진화된 시스템으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정책이 필요하다.

대형 VC에만 치우친 투자 구조를 개선하고, 중소형 VC에게도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

(중소형 VC 지원 확대)

· 정량평가 기준을 완화하고, 중소형 VC가 펀드 결성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

· 은행과 대기업의 벤처출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함

(현실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책 수립)

· 해외 진출보다는 국내 VC 생존을 위한 단기적 지원 정책을 우선해야 함

· 정책자금의 지속적 확대와 안정적 지원을 통해 시장의 기반을 강화해야 함

 

(벤처투자 생태계의 균형 발전)

· 대형 VC와 중소형 VC 간의 투자 불균형을 해소하고, 다양한 VC가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필요

(미래를 위한 준비 : 위기를 기회로)

· 한국 벤처투자 시장은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시점에 서 있다. 정책적 실기가 반복된다면 시장은

더욱 위축될 것이고, 이는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균형 잡힌 정책과 중소형 VC 지원을 강화한다면, 한국 벤처투자

시장은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와 시장이 함께 협력해 벤처투자 생태계의 균형 발전을 이루고,

다양한 주체들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행동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의 벤처투자 시장이 다시 한 번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시스템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 요약 : 한국 벤처투자 시장의 위기와 정부 정책의 문제점]

(벤처투자 시장의 위기)

· 과거 선진화된 벤처투자 시스템 평가를 받았으나 최근 위기감이 고조됨

· 정부의 정책자금 감소로 인해 시장 불안정 심화

(시장 반등의 징후)

· 2023년 들어 신규 벤처조합 약정금액과 투자금액 증가

· 정책자금(모태펀드) 비중 확대가 주요 원인

(문제점)

· 대형 VC에만 투자 집중, 중소형 VC는 어려움 지속

· VC 설립 숫자 감소 및 다수 VC의 펀딩 실패

· 중기부의 해외진출 정책이 현실과 괴리

(전망)

· 내년 VC 시장의 혹한기 예상, 다수 VC 폐업 가능성.

(1) 한국 벤처투자 시장의 구조

[벤처투자 생태계]

├── 자금조달(펀딩)

├── 투자

├── 투자금 회수(엑시트)

└── 고용 창출 및 성장성 확보

(2) 위기 원인

[위기 원인]

├── 정책자금 감소

│ ├─ 정부 정책 변경 (감액)

│ └─ 정책성 자금 비중 30% 이상 → 시장 충격

├── 중소형 VC 소외

│ ├─ 대형 VC에 투자 집중

│ └─ 펀드 결성 어려움 (은행 및 대기업 외면)

└── VC 설립 감소

├─ 2020년: 21개 → 2023년: 9개

└─ 펀딩 실패 및 시장 탈락

(3) 시장 반등 요인

[시장 반등 요인]

├── 신규 벤처조합 약정금액 증가

│ └─ 2023년 10월 기준: 4조7122억 (전년 대비 2.8%↑)

├── 정책자금 역할 확대

│ └─ 모태펀드 출자 비중: 9.9% → 21.7%

└── 신규 투자 증가

└─ 5조1424억 (전년 대비 24.8%↑)

(4) 문제점

[문제점]

├── 중소형 VC 소외

│ ├─ 정량평가에서 밀림

│ └─ 펀드 결성 어려움 (은행, 대기업 외면)

├── VC 설립 감소

│ ├─ 신규 설립 급감 (2020년: 21개 → 2023년: 9개)

│ └─ 다수 VC 펀딩 실패 및 시장 퇴출

└── 정책적 괴리

├─ 중기부의 해외진출 강조

└─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

(5) 전망

[미래 전망]

├── VC 시장 혹한기

│ └─ 다수 VC 폐업 예상

└── 정책적 개선 필요

├─ 중소형 VC 지원 강화

└─ 현실성 있는 정책 마련

(체계적 분석)

(1) 한국 벤처투자 시장의 강점

· 미국 다음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선진화된 시스템

· 고용 창출 및 성장성 높은 분야로 경제 성장에 기여

(2) 시장 위기의 원인

· 정책 변화

- 정부의 정책자금 축소로 시장 충격 발생

- 정책성 자금 비중이 높아 정부의 태도 변화가 시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

· 중소형 VC의 어려움

- 대형 VC에 투자 집중, 중소형 VC는 외면

- 은행 및 대기업의 벤처출자 감소로 펀드 결성 어려움

· VC 설립 감소

- 신규 VC 설립 급감(2020년 21개 → 2023년 9개).

- 펀딩 실패 및 시장 퇴출 사례 증가

(3) 시장 반등의 긍정적 신호

· 신규 벤처조합 약정금액 증가(2023년 10월 기준 4조7122억)

· 정책자금(모태펀드) 출자 비중 확대(9.9% → 21.7%)

· 신규 투자 금액 증가(5조1424억, 전년 대비 24.8%↑)

(4) 해결해야 할 문제

· 중소형 VC 지원 필요

- 대형 VC에 집중된 투자 구조를 개선

- 중소형 VC의 펀드 결성 지원 및 정량평가 기준 완화

· 현실성 있는 정책 마련

- 중기부의 해외진출 강조가 현재 시장 상황과 괴리

- 국내 VC 생존을 위한 단기적 지원 정책 필요

(5) 미래 전망

· 부정적 : 다수 VC의 폐업 가능성 증가, 시장 혹한기 예상

· 긍정적: 정책적 개선 및 중소형 VC 지원 강화 시 시장 회복 가능

[제언]

· 중소형 VC에 대한 지원 확대

- 정량평가 기준 완화 및 펀드 결성 지원 강화

- 은행 및 대기업의 벤처출자 활성화 유도

 

· 현실적이고 균형 잡힌 정책 수립

- 해외진출보다 국내 VC 생존을 위한 단기적 정책 우선

- 정책자금의 지속적 확대 및 안정적 지원 필요

 

· 벤처투자 생태계의 균형 발전

- 대형 VC와 중소형 VC 간 투자 불균형 해소

- 다양한 VC가 공존할 수 있는 환경 조성

감사합니다.

Consulting Agency

A HIGHER LEVEL OF MANAGEMENT CONSULTING

[POLICY LOBBYING/M&A/IPO/경영전략]

www.rainbowmanagement.org

ceo@rainbowmanagement.org

https://blog.naver.com/rct7202/

 

#기업투자 #중소기업투자 #투자유치 #투자제안서 #스타트업투자 #투자IR #IR #IR작성